티스토리 뷰
장수의 비결 혈관 관리방법
혈관만 잘 관리해도 나이 들어 큰 병 없이 건강하게 산다.
혈관 나이는 신체 나이와 비례하지 않습니다.
혈관이 나이 들어 노화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을까요?
안타깝게도 그건 불가능합니다. 인간이 나이를 막을 수 없듯이, 혈관의 건강 또한 시간이 흐를수록 자연스럽게 퇴화하는데요. 혈관 내막에 본격적으로 손상이 일어나는 것은 대개 성인이 된 이후이지만, 실제로 혈관 노화는 10세 이전부터 이미 시작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렸을 때 잘못된 생활습관을 가지면 신체 나이보다 훨씬 빠르게 혈관 노화가 진행될 수가 있습니다. 매운 음식이나 기름진 음식 등 매우 자극적이고 지방이 많은 식사를 자주 하는 청소년이나 청년의 경우 이러한 생활습관으로 인해 신체 나이보다 훨씬 더 빨리 혈관이 노화되는 이유입니다.
잘못된 생활습관이 혈관 건강 악화시킵니다.
혈관의 노화 속도를 늦추는 것은 올바른 생활습관이 중요합니다. 혈관에 좋고 나쁜 습관이 성장기의 건강뿐 아니라 성인이 됐을 때의 건강, 나아가 장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인데요.
그럼 이런 혈관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혈관건강을 좌우하는 생활습관으로 음식과 운동, 그리고 수면이 중요한데요.
우선 음식의 경우 아주 어렸을 때부터 콜레스테롤이 높은 음식에 너무 자주 노출될 경우, 혈관 노화를 촉진시켜 30대 이후 각종 만성질환에 시달릴 수 있다. 삼겹살 등 기름진 육류, 달걀노른자, 새우, 버터 등이 대표적입니다.
콜레스테롤이 높은 음식을 너무 자주 먹으면 혈관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지방이나 유해 콜레스테롤이 몸속에 쌓이거나 혈관 내벽에 플라크가 생성되기 때문인데요. 플라크는 혈관 내벽에 붙어 형성되는 찌꺼기 등을 말하는 것인데 기름진 음식은 플라크를 계속 남기기 때문에 혈관 노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합니다.
어렸을 때부터 음식은 싱겁게, 운동은 땀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치, 국, 찌개 등을 많이 섭취하는 우리나라 사람의 하루 평균 염분 섭취량은 대개 15~20g 정도인데요.
하루 적정 섭취량이 5g 정도인 것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양입니다.
문제는 어렸을 때부터 일찌감치 이런 식이습관에 노출된다는 점인데 짜게 먹거나 맵게 먹는 음식에 익숙해지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어느새 혈관 벽을 자극하는 식이습관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10대, 20대에는 너무 맵거나 짠 음식, 또한 튀긴 음식을 먹는 만큼 채소 등 식이섬유 음식을 즐겨 먹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길러야 됩니다.
성장기, 청년기 때 혈관건강에 가장 좋은 생활습관으로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성장기 때 나오는 성장호르몬은 밤 10시부터 새벽 2시까지가 가장 활발합니다. 이 성장호르몬은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근력 형성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정상적인 신진대사 활동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혈액순환에도 좋은 작용을 합니다.
오늘은 혈관 관리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질병에 걸리면 치료도 중요하겠지만 항상 사전 예방이 더 중요합니다. 미리 예방하시고 건강한 몸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건강&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수화물 중독 벗어나자. (0) | 2017.03.31 |
---|---|
사과의 효능 - 금사과, 독사과의 진실 (0) | 2017.03.31 |
단백질 섭취 왜 필요한가? (0) | 2017.03.29 |
발기부전에 좋은 운동 (0) | 2017.03.29 |
탄수화물 중독증 예방방법 (0) | 2017.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