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연차계산법은 계산기로 이렇게!
예전에는 월차라던가 연차 이런말을 많이 듣고 쓰셨을텐데요. 요즘에는 연차유급휴라는 말로 정확한 명칭을 쓰고 있는데요.
각자 다니는 회사의 종류는 다르고 회사마다 회사내규가 있겠지만 연차 계산법은 근로기준법에 의하여 모든회사가 동일하게 적용을 한다고 하는데요.
근로기준법에서는 1년을 기준으로 15일간의 휴가를 주도록 되어 있습니다. 해당조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80프로 이상 출근일수가 되어야지만 가능한데요.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연차휴급휴가 계산은 아래와 같습니다.
입사 이후 근속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15일의 연차휴가를 사용 할 수 있는데요. 3년차부터는 최대 25일까지 2년 단위로 1일씩 추가 된다고 합니다.
입사 초반의 경우에는 각 회사의 회계기준에 따라 1년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는 1년 미만의 경우에는 1달에 1일의 연차휴가가 주어지게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어떤식으로 계산해야하는지 모르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은데요
오늘은 자신의 연차계산법, 연차수당계산기로 한번 간단하게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색창을 통해서 비즈씨를 입력하게 되면 하단에 나오는 사이트가 있는데요.
여기로 들어가시게 되면 간단하게 로그인 없이도 연차계산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메인페이지 좌측 탭에 보시면 연차계산기를 실행시키면 새창이 열리게 됩니다.
직접 이렇게 근속년수를 선택해서 확인을 해보시면 자신의 연차계산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한데요.
자신에 맞춰서 근무제와 근속년수, 전년도 근무를 정확하게 선택을 하시면 이렇게 연차계산을 통해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생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확인은 여기서! (0) | 2017.09.24 |
---|---|
우체국박스 사이즈 및 가격 알아보기 (0) | 2017.09.24 |
하이패스 사용내역 확인은 이렇게 (0) | 2017.09.23 |
KT환급금 조회방법 3분만에 환급받자 (0) | 2017.09.22 |
그래픽카드 보는법, 그래픽카드 확인은 이렇게! (0) | 2017.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