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7년 출산장려금 전국 확인하는 방법


해마다 출산율은 저조해지는 가운데 지난해 합계 출산율이 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보도가 얼마전 나왔는데요. 합계 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를 뜻하는데요.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1.17명으로 2015년보다 0.07명 감소한 수치라고 합니다. 2005년에도 1.08명을 기록한 이후 최저치라고 하는데요. 정부가 출산에 대한 혜택을 늘리면서 출산률이 조금 느는가 싶더니 다시 감소하고 있다고 합니다. 



출산장려금은 전국이 동일하게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내용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출산장려금과 혜택을 알아보기 위해서 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정부에서도 출산이나 양육에 관련된 복지가 해마다 좋아지고 있는데요. 임신을 하게 되면 국가에서 임신 확인이 되면 아이사랑 카드가 발급됩니다. 아이사랑카드는 출산 이후에도 여러면에서 다양하게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를 통하게 되면 출산장려금 지역별 확인이 가능한데요. 아이사랑카드를 발급 받으신분은 회원가입을 해놓으시면 차후에 애가 크고 어린이집을 다니고 할때 보육료 결제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니 편리합니다.


아이사랑 메인페이지를 보게 되면 위와 같이 출산지원 서비스 (정책) 텝이 있습니다. 아까 말씀드렸드시 어린이집 보육료가 여기서 결제가 가능하답니다.



출산지원 정책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신이나 출산 장려금 같은 경우는 여기에서 우리지역 복지 서비스를 통해서 검색을 하시면 됩니다. 대구 광역시로 해서 제가 검색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산지원 서비스 정책을 보게 되면 임신부터 출산까지 복지서비스는 15개가 조회되었습니다. 인구수가 적은 지역 같은 경우에 추가적으로 지원되는 서비스와 혜택도 있다고 합니다. 



때문에 정확하게 자신이 어떤 지원이 있는지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전입 신고된 지역을 조회조회하시는 것이 정확한 출산장려금과 지원금이나 혜택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조회한 대구시의 의료비 지원 내용은 임신출산 진료비가 50만원을 지원합니다. 그리고 추가금 지급되는 지역은 전국의 지역이 하단에 표시 됩니다. 이렇게 임신이나 출산으로 인한 출산장려금과 지원금은 지역별로 조회가 가능하며 조금씩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댓글